• 최종편집 2025-07-18(금)
 

 

 

 

■ 풍수해 감염병이란?

장마, 태풍, 홍수 등 자연재해로 인해 발생하거나 악화되는 감염병입니다.


하천 범람 및 침수가 발생한 경우, 감염 매개체(병원균, 모기, 파리, 쥐 등) 서식처의

환경 변화 및 위생환경이 취약해져 감염병이 유행할 수 있습니다.


■ 발생 감염병은?

· 오염된 물이나 음식 섭취로 인한 '수인성·식품 매개 감염병'

· 모기 매개체의 증가로 인한 '모기 매개 감염병'

· 수해복구 작업 시 피부 노출에 의한 '접촉성 피부염, 렙토스피라증'

· 접촉으로 인한 '안과 감염병'


오염된 물이나 음식 섭취 주의!

■ 수인성·식품 매개 감염병은?

* 콜레라,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A형 간염 등


-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 오염된 물이 닿거나 냉장이 유지되지 않은 음식 섭취하지 않기

- 끓인 물이나 생수 등 안전한 물 먹고 사용하기

- 음식은 위생적으로 조리하고 충분히 익혀 먹기

- 설사, 구토 등의 증상이나 손에 상처가 있을 시 조리하지 않기

- 채소, 과일은 깨끗한 물에 충분히 씻어 먹기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

■ 모기 매개 감염병 예방수칙

* 말라리아, 일본뇌염 등


- 3시간 간격으로 모기기피제 사용하기

- 야간활동 자제하기(일몰 후~일출 전)

- 야간 야외활동 시 밝은 색 긴 옷 착용하기

- 가정용 살충제 사용 및 방충망 정비하기

- 물 웅덩이 등 모기 서식지 제거하기

- 모기에 물린 후 발열, 오한, 두통 등 증상 발생 시 의료기관 방문하기


수해복구 작업 시 피부 노출 최소화!

■ 접촉성 피부염, 렙토스피라증* 예방수칙

* 병원성 렙토스피라균에 감염된 동물(쥐/ 소·돼지, 개 등의 가축)의

  소변 등의 노출을 통해 감염되어 발생하는 감염병


- 침수지역에서 작업 시 방수 처리된 보호복과 장화, 고무장갑 착용하기

- 물에 노출된 피부는 깨끗한 물로 씻어내기

- 작업 중 오염된 상처가 생기거나 작업 후 발열, 근육통 등 증상 발현 시 의료기관 방문하여 진료받기


올바른 손씻기가 가장 중요!

■ 안과 감염병 예방수칙

* 유행성각결막염


-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 수건, 베개, 안약, 화장품 등 개인 소지품 함께 사용하지 않기

- 눈에 부종·출혈·이물감 등이 있을 경우, 손으로 비비거나 만지지 말고 안과 전문의 진료 받기



태그

전체댓글 0

  • 57349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게 최선입니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