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5-09(금)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데이터·인공지능(AI) 기반 소재 연구개발 혁신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두 부처는 산업부가 구축한 300만 건의 소재 분야 공공데이터를 과기정통부의 데이터안심구역을 통해 개방하기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소재 개발은 평균 10년 이상의 연구 기간과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고난도 산업 분야로, 한 번 채택된 소재는 쉽게 대체되지 않아 '선도자 이익'이 큰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장기간의 소재 연구개발의 결과물인 소재 데이터(레시피)는 부가가치의 원천으로, 소재 데이터만 확보할 수 있다면 고비용 투자가 어려운 중소기업도 도전적인 소재 개발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산업부는 2020년부터 국내 소재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전략 소재 선점을 지원하기 위해 화학, 금속, 세라믹, 섬유 등 4개 소재 분야 공공 데이터를 축적해 왔으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300만 건의 소재 데이터를 누구나 접근할 수 있게 개방한다.


원료, 조성, 공정에 따른 다양한 소재 특성을 담은 실험 데이터를 통해 국내 소재 기업들의 R&D 성공률을 높이고 데이터 기반 창업도 촉진할 전망이다.


 

과기정통부와 산업부가 소재 데이터 개방 협력으로 AI 기반 소재 연구개발 활성화에 나선다.

 


개방된 데이터는 과기정통부가 운영하는 '데이터안심구역'을 통해 안전하게 제공한다.


데이터안심구역은 데이터 산업진흥 및 이용촉진에 관한 기본법에 따라 과기정통부와 관계부처가 지정한 보안통제 공간으로, 민감하거나 미개방 데이터를 기술적·물리적·관리적으로 보호하면서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다.


데이터안심구역은 현재 전국에 8개 기관(10곳)이 지정되어 있으며, 교통, 고용, 보건 등 다양한 분야의 미개방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데이터안심구역은 데이터 정밀 분석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분석 도구도 함께 제공하고 있으며, 이번에 산업부 소재 데이터를 추가함에 따라 제조업 현장에서 실제 활용할 수 있는 AI 학습데이터 기반이 한층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이번 협력을 계기로 데이터 기반 소재 R&D 생태계를 강화하고, 제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과 기술 경쟁력 제고를 적극 뒷받침해 나갈 계획이다.


이승렬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소재산업은 인공지능을 접목한 R&D 혁신 가능성이 가장 큰 분야 중 하나"라며 "약 5년 동안 축적한 소재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개방해 기업의 기술 개발에 큰 힘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AI 시대에는 소재 데이터와 같은 고품질 데이터 개방이 기술 혁신의 핵심 동력이 된다"며 "이번 협력을 시작으로 데이터 기반의 산업 혁신이 더욱 가속할 수 있도록 지속해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태그

전체댓글 0

  • 09954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정부, 소재분야 공공데이터 300만 건 개방…소재 R&D 혁신 기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