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2-25(화)
 

 

 

대표적인 전세사기 피해 사례 및 예방법!

모든 주택이 꼭 해야 하는 전세사기 예방법!


▼ 대표적인 전세사기 피해 사례

사례1) 선순위 임차보증금이 많은 다가구 주택

공동담보가 많은 다세대 주택·오피스텔


(1) 다가구 주택에 이미 임차인들이 거주하고 있을 때

※ 임차보증금 총합 = 선순위 임차보증금

· 건물이 경매로 매각되었을 때 선순위 임차인들이 우선

· '선순위 임차보증금' 규모를 속여 계약하는 임대인

· 임차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임차인

※ 임차주택의 경매에서도 임차보증금 회수 불가


(2) 공동근저당권이 설정된 다세대 주택, 오피스텔

· 임대인의 채무 규모가 큰 경우가 많음 ※주의※

· 임차주택이 경매로 넘어가 임차보증금을 회수하지 못하는 사례 존재


▼ 다가구 주택, 전세사기 예방법

1. 계약 전 '확정일자 부여 현황', '전입세대 열람 내역' 요구

2. 계약 후 '확정일자 부여 현황' 및 '전입세대 열람 내역' 발급

3. 선순위 근저당권 확인


TIP. 다른 세입자의 보증금 규모를 알기 어려움

임대인의 동의를 받아 계약전 선순위 임차보증금 규모를 확인!


사례2) 신탁회사의 동의 없는 임대차계약 체결


· 부동산 등기부등본 확인

· 부동산의 소유권을 신탁회사에 이전한 내역 기재

· 부동산 소유권은 임대인에게 없음!

※ 함부로 임대인과 임대차계약을 해서는 안 됨!


· 신탁등기가 된 집의 임대차계약

· 신탁회사의 동의, 신탁회사와 직접계약

· 신탁회사의 동의 없이 계약할 경우

※ 신탁회사에 임대차계약 상 권리 주장 불가


임대인이 임차보증금을 반환하도록 정하는 경우가 대부분

이 경우 신탁회사의 동의를 받아 임대차계약을 체결하더라도

※ 임차인은 신탁회사에 임차보증금 반환청구 불가


임차주택을 처분, 경매로 매각한 경우

※ 임차인은 임차주택 매수인에게 대항 불가


임차보증금을 반환받지 못한 재 집을 비워주어야 하는 상황 발생 가능

※ 위험 요인이 많은 신탁부동산


▼ 신탁등기 전세사기 예방법

1. 부동산 등기부등본 확인하기

2. 신탁원부 확인하기



태그

전체댓글 0

  • 88112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신탁회사의 동의 없는 임대차계약 체결 괜찮을까?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