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5년까지 양자기술에 3조 쏟는다…“선도국 기술수준 85% 달성”
정부, 역대 최초 ‘양자과학기술 전략’ 발표…핵심인력 2500명 양성 세계 양자산업 점유율 10%·양자기업 1200개 육성 목표 제시
정부가 오는 2035년까지 민·관 합동으로 최소 3조 원 이상을 투자해 양자 과학기술을 선도국의 85% 수준으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양자 핵심인력도 현재의 7배 가까운 2500명까지 늘리고 양자분야 종사인력도 1만 명을 양성한다.
아울러 2035년까지 양자산업 세계 시장 점유율을 10%까지 높이고, 양자기술을 공급하고 활용하는 기업도 1200개까지 늘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7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대한민국 양자과학기술 전략’을 발표했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7일 오후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아트홀에서 열린 양자과학기술 전략 보고회에서 양자과학기술로 이루는 대한민국의 미래상을 발표하고 있다.(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번 전략은 지난 1월 19일 스위스 취리히연방공과대학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양자 석학과의 대화 내용을 반영해 양자과학기술에 대한 중장기 비전과 종합적인 발전전략을 담은 역대 최초의 국가전략이라는데 의의가 크다.
◆임무지향적 양자연구 개발 추진
정부는 우선 선도국에 비해 뒤처진 양자 기술 수준을 끌어올리기 위해 기술로드맵에 따라 임무와 기한을 두는 ‘임무지향적 연구개발’을 추진한다.
양자컴퓨팅은 여러 기술방식이 경쟁 중임을 감안해 다양한 혁신 가능성을 열어두고 지원하되, 기술 성숙도 및 비교 우위 등 변화·발전을 수시 점검해 선택과 집중을 강화한다.
양자컴퓨터 분야에서는 2031년까지 큐비트(양자비트)급 초전도 기반 범용 양자컴퓨터 개발을 목표로 자체 기술을 확보한다.
또 이온 포획, 광자, 반도체 스핀 등 다양한 양자컴퓨터 방식 연구개발을 강화하고 고전 컴퓨터와 양자컴퓨터를 연계하는 기술개발도 지원한다.
양자 통신에서는 2030년대 100Km급 양자 네트워크를 개발해 도시 간 실증을 추진한다.
양자센서 분야는 원천기술들을 융합해 무(無) GPS 항법, 양자 레이다 등 고전 센서를 뛰어넘는 센서를 기업과 공동 개발한다.
◆양자핵심인력 2500명 양성
양자 인력 확보를 최우선 과제로 삼는다.
이를 위해 양자과학기술 분야 학과를 신·증설 지원하고 양자대학원 등을 통해 현재 384명 수준인 양자핵심인력을 2035년까지 2500명 수준으로 양성한다.
또 전자공학, 제어·시스템 공학 등 양자시스템 구현 및 제어 등 ‘양자 엔지니어’의 교육훈련을 통해 조화로운 양자융합인력 생태계도 조성한다.
우리나라 학생·연구자를 해외 선도 연구기관에 파견하고, 주요 권역별 양자과학기술협력센터 설치(미국·EU 등)를 통해 글로벌 인재 선순환 체계를 구축한다. 해외 파견 등 글로벌 인력 순환도 2035년까지 누적 500명을 확보한다.
◆양자연구·산업 인프라 고도화…양자팹 확충
양자 소자공정, 양자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술 확보로 양자 연구 환경을 조성하고 산업화 연계를 통해 양자과학기술의 도약을 뒷받침한다.
이를위해 2027년까지 연구자가 직접 사용이 가능한 연구자 주도의 개방형 양자팹을 확충하고, 2031년에는 공공 양자 파운드리, 2035년에는 민간 양자 파운드리를 구축하기로 했다.
◆양자경제 향한 산업 기반 마련…양자집중육성권역 조성
양자 활용산업 및 스타트업을 육성하고 민관 공동 프로젝트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을 강화한다.
스타트업을 2035년까지 100개로 늘리고, 양자 생태계를 보유한 지역에 정부와 지자체가 공동 지원하는 ‘양자집중육성권역’을 조성한다.
◆국방·안보 도입 추진…국방분야 특화 연구실 확충
양자과학기술을 적용한 무기를 도입하기 위해 2025년까지 국방 분야 양자특화 연구실을 3곳으로 늘리고, 기존 암호체계를 차세대 암호인 양자내성암호로 전환하는 계획도 수립하기로 했다.
◆지원체계 확립…법률 제정
정부는 지속 가능한 지원체계를 만들기 위한 ‘양자과학기술 및 양자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 제정도 추진하기로 했다.
또 2035년 양자 경제로 전환을 목표로 민-관 공동으로 3조 원 이상 지원하고, 요소기술 중심의 소규모 연구에서 벗어나 전략로드맵에 따른 산·학·연을 연계하는 민-관 협업 대규모 통합 연구개발사업(Flagship Project)을 추진한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는 양자분야 산학연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도 이뤄졌다.
이 장관은 “대한민국이 양자과학기술개발에는 늦게 뛰어들었지만, 아직 본격적인 산업화는 되지 않아서 아직 골든타임의 기회는 남아 있다”며 “2035년 양자경제가 열리는 시점에서 우리나라가 선도국의 위치에 서 있으려면 산·학·연·관이 손을 맞잡고 총력전을 펼쳐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