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부총리 "관세 영향 고용부진 심화 우려…10조 필수 추경 곧 발표"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수출바우처 1000억 원 증액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9일 "미 관세 영향에 따라 제조업 등 수출 주력산업을 중심으로 고용 부진이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하며 "10조 원 규모의 필수 추경안을 곧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이날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모두발언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
이 회의에서는 통상환경 변화 대응을 위한 향후 정책방향과 자동차 생태계 강화를 위한 긴급 대응대책, 조선 RG(선수금환급보증) 공급 확대 방안 등을 논의했다.
(0).jpg)
정부는 미국의 상호 관세에 대응해 수출바우처를 현재 2400억 원에서 1000억 원 이상 증액하고 긴급경영안정자금도 확대하는 등 관세 피해기업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또한, 업종별 관세대응·산업경쟁력 강화 방안과 유턴기업 지원대책 등을 마련하고, 중형조선사에 RG(선수금환급보증) 발급을 확대하는 한편, 무역보험 특례보증 한도를 대폭 상향하기로 했다.
최 부총리는 모두발언에서 "글로벌 산업·기술경쟁 심화, 내수회복 지연 등 구조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 경제에 '관세폭풍'이라는 또 다른 먹구름이 드리워지고 있다"며 "기업의 수출과 생산이 위축되면서 우리 경제의 어려움이 가중될 우려가 커졌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지난 3월 취업자는 전년 동월 대비 19만 3000명 증가했지만 관세 영향에 따라 제조업 등 수출 주력산업을 중심으로 고용 부진이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최 부총리는 이에 "정부는 전례 없는 통상위기를 맞아 비상상황에 맞는 과감한 지원들을 신속하게 추진하기 위해 통상환경 대응과 산업경쟁력 강화 지원을 포함한 10조 원 규모의 필수 추경안을 곧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이어서 "통상환경 급변에 대응해 피해기업을 적기 지원하는 것이 시급한 만큼 관세대응을 위한 수출바우처를 현재 2400억 원에서 1000억 원 이상 증액하겠다"면서 "수은과 기은의 위기대응 특별 대출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중소기업 대상 긴급경영안정자금(현재 2500억 원)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더불어 "보다 근본적인 대응을 위해 산업경쟁력 강화, 수출시장 다변화 등 구조적 개편도 적극 뒷받침하기 위해 첨단기술에 대한 정부 R&D 투자를 대폭 확대하고 첨단전략산업기금 등 금융지원과 산업인프라를 확충하겠다"고 설명했다.
또한, "자동차·조선·석유화학 등 업종별 대책을 지속해서 마련해 지원방안을 구체화해 나가고, 대체시장 발굴을 위한 마케팅·물류 지원을 확대하며 특례보증(신보·기보)과 저금리 지원 프로그램(수은)을 신설한다"고 언급했다.
최 부총리는 "최근 관세 영향으로 우려가 큰 자동차산업에 대한 긴급 대응방안을 논의해 부품기업 등 관세피해 기업을 긴급 지원하겠다"고 강조하면서 "피해기업에 특별 정책금융을 2조 원 추가해 15조 원을 공급하고, 대기업·금융권과 협력해 1조 원 규모의 상생 지원 프로그램을 가동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더해 "제조사 할인액과 연계한 전기차 추가 보조금 기한을 연말까지 연장하고, 매칭비율을 최대 80%까지 높이는 한편, 자율주행 등 미래차 기술의 국가전략기술 지정을 추진한다"고 덧붙였다.

최 부총리는 이와 함께 "최근 조선업 기회요인이 선박수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중형조선사의 RG 발급 확대를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중형사 RG 발급기관을 수출입은행 등으로 다변화하고 무역보험 특례보증 한도를 대폭 높이는 한편, 중형조선사의 재무구조 개선을 신속히 반영해 5월 중 구체적인 RG 지원계획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더불어 "조선사가 유망한 프로젝트를 수주한 경우에는 미래가치를 반영해 유연하게 RG를 발급하며, 이를 위한 수주 가이드라인을 상반기 중 마련하고 이에 따른 금융기관에는 면책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