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북극해 전역 누빈다…"북극항로 개척 시동"

해수부, 한화오션과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계약 체결

입력 : 2025.07.29 17:03
이메일 글자확대 글자축소 스크랩

 

해양수산부가 오는 2030년 차세대 쇄빙연구선을 북극에 투입해 북극해 전역을 항해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는 북극항로 개척에 필요한 데이터 확보 등 북극항로 시대에 큰 역할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수부는 29일 극지연구소와 한화오션 간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계약 체결식에 참석했다며 이같이 전했다.


 

'차세대 쇄빙연구선' 조감도(이미지=해수부 제공)

 


계약 대상자로 선정된 한화오션은 앞선 기술심사에서 최적의 선체 형상, 우수한 내한 성능, 연구자 중심의 연구 공간 등을 제시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번 계약 체결을 통해 우리나라 북극 진출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해수부의 주요 국책사업인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사업'은 오는 2029년 12월까지 세계적 수준의 쇄빙연구선을 건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차세대 쇄빙연구선은 기존 아라온호에 비해 총톤수는 2배 이상, 쇄빙 능력은 50%가량 향상된다. 


또한 국제선급협회연합(IACS)의 Polar Class3(PC3) 등급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탈탄소 시대에 맞춰 친환경 LNG-MGO(저유황유) 이중연료 시스템이 적용된다. 이어 '모듈형 연구시설'을 탑재해 기존 고정식 설비 대비 연구 공간 활용도도 크게 높힐 예정이다.


차세대 쇄빙연구선이 투입되면 현재 북위 80도에 제한된 북극 연구 반경이 북극점까지 확대 돼 극지 과학연구 역량도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아울러 기존 아라온호에 집중된 남·북극 연구와 기지 보급 등의 임무 과중 문제도 해소돼 실제 연구 가능한 기간이 현재 40여 일에서 3~4배 수준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세계 최고수준의 우리 기술력으로 건조될 차세대 쇄빙연구선은 과학연구, 자원협력 등 북극 협력을 촉진할 수 있는 인프라"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차세대 쇄빙연구선을 시작으로 북극항로의 지속 가능한 이용과 안전한 운항을 위해 필요한 인프라와 실측 기반 데이터를 꾸준히 쌓아가겠다"고 말했다.

 

 

이태영 기자 infonews007@daum.net
© 법률검찰신문,경찰타임즈 & lppaper.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0

50080

경제 많이 본 기사

  1. 12030년 북극해 전역 누빈다…"북극항로 개척 시동"
  2. 2과기정통부, 호우 특별재난지역 통신·유료방송 요금 등 감면
  3. 3휴가철 몰리는 섬 여행 대비, 연안여객선 운항 늘린다
  4. 4평택-시흥 고속도로 최대 8차로 확장 추진…2033년 개통 목표
  5. 5드론특화자유화구역, 전국 67곳으로 확대…드론서비스 상용화 촉진
  6. 6중기부, '중소기업 AI 대전환' 참여 지자체 모집…350억 원 지원
  7. 7올 상반기 재정 신속집행, 당초 목표대비 15조 8000억 초과 달성
  8. 8AI 휴머노이드 데이터 경량화 등 융합연구 본격 착수
  9. 9K-브랜드 위조상품 유통 제재 강화…AI 모니터링·차단 확대
  10. 10올여름 전력 수요 '역대 최고' 전망…정부, 안정적 전력수급 총력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2030년 북극해 전역 누빈다…"북극항로 개척 시동"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