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기준 중위소득' 4인가구 649만 원…역대 최대 6.51% ↑

복지부, 제77차 중앙생활보장위원회 심의·의결 1인 가구 생계급여 월 최대 82만 556원…"수급자 4만 명 증가 기대"

입력 : 2025.07.31 17:12
이메일 글자확대 글자축소 스크랩

 

기초생활보장제도 등 각종 복지사업의 기준선이 되는 '기준 중위소득'이 내년도 4인 가구 기준 6.51% 오른 649만 4738원으로 결정됐다. 기준 중위소득 증가율은 5년 연속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보건복지부는 31일 제77차 중앙생활보장위원회를 개최해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과 기초생활보장 급여별 선정기준 및 최저보장수준을 심의·의결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기준 중위소득은 보건복지부 장관이 급여기준 등에 활용하기 위해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간값이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77차 중앙생활보장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복지부 제공)

 


올해 기준 중위소득은 14개 부처 80여 개 복지 사업의 선정기준으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내년도 중위소득은 역대 최대 인상 폭을 기록해 4인 가구 기준 649만 4738원이다. 특히 1인 가구의 중위소득은 올해 239만 2013원 대비 7.20% 인상된 256만 4238원으로 결정돼 기초생활보장 수급가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1인 가구 대상에는 보다 높은 인상률이 적용된다.


급여별 선정기준의 경우 생계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의 32%, 의료급여는 40%, 주거급여는 48%, 교육급여는 50%로 올해와 동일하게 결정했다.


생계급여는 선정기준이 곧 최저보장수준이며, 4인 가구 기준 올해 195만 1287원에서 내년 207만 8316원으로, 1인 가구 기준 올해 76만 5444원에서 내년 82만 556원으로 인상한다. 


제도개선도 적극 추진한다. 청년이 스스로 일해 자활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기 위해 청년층 근로소득 공제 대상을 확대한다. 아울러 일반재산 환산율(4.17%)을 적용하는 자동차재산 기준을 승합·화물자동차와 다자녀 가구에 대해 완화한다.


내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 및 제도개선으로 약 4만 명이 새롭게 생계급여를 수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의료급여는 기존과 동일하게 급여대상 항목에 대한 의료비 중 수급자 본인부담 금액을 제외한 전액을 지원한다. 본인부담 기준은 현행 의료급여 법령을 그대로 따른다. 연간 365회 초과한 외래진료는 본인부담률 30%를 적용한다. 


또한 부양의무자가 수급자에게 생활비로 지원하는 것으로 간주하던 부양비를 완화해 대상자를 확대하며, 항정신병 장기지속형 주사제의 본인부담률을 5%에서 2%로 인하해 정신질환 치료 효과성을 높일 계획이다. 


주거급여는 임차가구의 기준임대료를 올해 대비 급지·가구원수별 1만 7000원에서 3만 9000원으로 인상하고, 교육급여는 교육활동지원비를 올해 대비 평균 6% 인상하기로 했다.



장병달 기자 infonews007@daum.net
© 법률검찰신문,경찰타임즈 & lppaper.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0

31840

사회 많이 본 기사

  1. 1'K-APEC' 홍보 총력…'100인 인터뷰 챌린지' 등 캠페인 진행
  2. 2호우 침수 농기계 긴급 수리 지원…특별재난지역은 임대료 면제
  3. 3해외 여행 중 아프면?…'119응급의료상담서비스' 이용하세요
  4. 4김 총리, 청년들과 'K-토론나라' 열어…"사회적 문제, 토론으로 해결"
  5. 5이 대통령 "외국인 노동자 등에 폭력·인권 침해 행위, 철저히 대응"
  6. 6이 대통령 "폭염 극심…국민 건강·재산 지키는데 가용 행정력 총동원"
  7. 7국가·지자체가 입양 책임…19일부터 공적 입양체계 본격 시행
  8. 8온몸으로 범죄를 막은 '이 남자'의 정체는?!
  9. 9부산 아파트 화재 관련 종합대책 8월 발표…'돌봄 사각지대 최소화'
  10. 10이 대통령, 사회적 참사 유가족에 사과…"정부 책임 다하지 못했다"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내년 '기준 중위소득' 4인가구 649만 원…역대 최대 6.51% ↑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