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페이백' 접수 첫날 79만 명 몰려…수도권 비중 55%

입력 : 2025.09.17 15:07
이메일 글자확대 글자축소 스크랩


"지역별로 경기 21만 4000명, 서울 17만 6000명 등 수도권서 44만 명 신청"

"이달 말까지 상생페이백 런칭 기념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지급 이벤트 진행"


중소벤처기업부는 상생페이백 접수 첫날인 지난 15일 79만 명이 신청했다고 17일 밝혔다.


상생페이백은 만 19세 이상을 대상으로 지난해 월평균 카드소비액보다 올해 9월부터 11월까지 월별 카드소비액이 늘어난 경우, 증가한 금액의 20%까지 월 최대 10만 원을 3개월 동안 전통시장과 상점가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소비 진작과 취약상권 소상공인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 전통시장을 찾은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2025.9.14.

 


5부제 접수 첫날인 어제 79만 1798명이 상생페이백 누리집(상생페이백.kr)에서 신청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서울·경기·인천)에서 44만 명(55.5%), 수도권 외 지역에서는 부산(5만 2000명), 경남(4만 5000명) 순으로 많았다.


15일 페이백 신청자 기준으로 지원대상자 여부와 지난해 월평균 카드실적을 이틀 뒤인 17일 오전부터 알림톡으로 안내할 예정이다.


이달 1일부터 누적 카드실적은 18일부터 상생페이백 누리집 '페이백 및 소비복권 조회하기'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페이백 신청안내처가 국민·우리·농협은행 및 농축협 외 신한은행이 추가 참여해 안내 영업점이 8100여곳으로 늘어 접근성이 높아졌다.


상생페이백 소비액 인정 사용처도 확대했다.


종전에는 마트·슈퍼·편의점 등 유사 업종이 없는 면 지역에 있는 123곳만이 포함됐었다.


그러나 지난달 21일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편의성 제고방안을 시행하면서 상생페이백도 이에 맞춰 유사업종이 부족한 읍·면 단위 657곳까지 늘려 모두 780개로 사용처를 확대했다.


또 지역 생산 농산물을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로컬푸드직매장 251곳도 인정 사용처에 추가했다.


아울러, 상생페이백 론칭 기념으로 이달 30일까지 디지털 온누리 앱에서 상품권을 누적 5만 원 이상 충전하면 추첨해 1만 원의 상품권을 1만 명에게 지급하는 이벤트를 한다.


이대건 중기부 소상공인정책관은 "상생페이백을 몰라 신청하지 못한 국민이 없도록 지속해서 홍보하고 사업 수행에 차질 없게 하겠다고 밝혔다.



김단 기자 infonews007@daum.net
© 법률검찰신문,경찰타임즈 & lppaper.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0

22084

경제 많이 본 기사

  1. 1국토부, 내년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 예산 대폭 확대…'정액패스' 도입
  2. 2김 총리, 소비자정책위 주재…"소비자 권익 침해 요소 감시 강화"
  3. 38월 농축산물 물가 4.4%↑…농식품부, 추석 물가 대비 총력
  4. 4대통령 직속 국가AI전략위원회 출범…국가 컨트롤타워 가동
  5. 5미 관세 피해기업에 내년까지 267조 원의 정책금융 지원
  6. 6유효기간 지난 모바일상품권, 최대 100%까지 환불받는다
  7. 7송·변전 설비 설치 조기 합의시 보상금 최대 75% 가산
  8. 8내달 15일 시행 '상생페이백'…"소상공인에 빛과 소금이죠"
  9. 92차 소비쿠폰 사용처 확대…"연매출 30억 원 초과 지역생협 추가"
  10. 10소상공인에 10조 원 공급…'금리경감 3종세트'로 연 2730억 원 절감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상생페이백' 접수 첫날 79만 명 몰려…수도권 비중 55%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